OBS 지연 시간 줄이는 꿀팁


OBS 지연 시간 줄이는 꿀팁


OBS 스트림 지연 시간 줄이는 방법

OBS(오픈 브로드캐스터 소프트웨어)는 많은 스트리머에게 사랑받는 강력하고 유연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스트리밍을 하다 보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바로 지연 시간입니다. 이 지연 시간(딜레이)은 시청자와의 소통에 장애가 되며, 결과적으로 시청 경험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OBS에서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이번 블로그에서는 스트리머들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몇 가지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1. 출력 설정 최적화하기

스트리밍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은 출력 설정입니다. OBS에서는 비트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스트림의 화질과 지연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비트레이트가 높을수록 비디오 품질은 좋아지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에 부하를 줘 지연 시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비트레이트 조정

비트레이트를 조정할 때는 목표로 하는 플랫폼의 권장 사항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Twitch에서는 4500kbps에서 6000kbps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예산이나 인터넷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인코딩 방식 선택

OBS에서는 Hardware(하드웨어)와 Software(소프트웨어) 인코딩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인코딩은 전용 GPU를 사용하여 성능을 최적화하며, 소프트웨어 인코딩은 CPU의 힘을 빌립니다. 자신의 시스템 사양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여 최적의 성능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합니다.

2. 키프레임 간격 설정

키프레임은 비디오 스트리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키프레임 간격을 설정할 때는 일반적으로 2초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설정은 스트리밍 소프트웨어와 영상 서비스를 통해 궁극적으로 더 원활한 스트리밍을 제공합니다.
키프레임 간격을 너무 길게 설정하면 시청자가 비디오를 재생할 때 필요한 데이터가 적시에 제공되지 않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필요한 조정을 해줍니다.

3. 해상도 및 프레임 속도 조정

고해상도(예: 1080p 또는 4K)의 비디오 스트리밍은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데이터 전송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해상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해상도 선택

일반적으로 720p 또는 1080p 해상도가 스트리밍에 적합합니다. 또한, 프레임 속도 역시 시청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므로, 보통 30fps 또는 60fps에서 선택합니다. 너무 높은 프레임 속도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과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네트워크 최적화

스트리밍의 성패는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에 달려 있습니다. 네트워크 품질을 최적화하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 확보

유선 연결을 사용하면 Wi-Fi보다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무선 환경에서 스트리밍을 하게 되면 패킷 손실과 간섭으로 인해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도시락 서지 방지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적화하고, 스트리밍하는 동안 백그라운드에서 다운로드나 업로드 작업을 멈추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른 디바이스에서 사용 중인 대역폭을 줄이세요.

5. 레이턴시 모드 설정

OBS에서는 레이턴시 모드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됩니다. ‘낮음’으로 설정하면 대기 시간이 최소화되므로, 이 설정을 통해 즉각적인 시청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집니다.

레이턴시 모드 적용

레이턴시 모드 설정은 OBS 설정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여기에서 제공하는 몇 가지 옵션 중에서 사용자 경험에 맞는 것을 선택하세요.
이렇듯 OBS에서 스트리밍을 하면서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위의 팁들을 하나씩 적용해 보면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성공적인 스트리밍 경험은 분명 시청자와의 소통에서 시작됩니다. 지연을 최소화함으로써 더 빠르고 재미있는 상호작용을 만들어 나가세요!
앞으로도 여러분의 스트리밍 여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행복한 스트리밍 되세요!